티스토리 뷰

 

오늘은 변수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변수의 개념은 특정 값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을 변수라고 칭합니다

컴퓨터에서 변수는 어떨까요?

 

컴퓨터에선 바뀔 수 있는 특정 값들을 변수라고 부릅니다.

느낌이 잘 안 오시죠?

컴퓨터는 많은 양들의 정보를 메모리 즉 렘에 저장합니다.

예를 들면 게임에서 몬스터를 처치하면 현재 (소지하고 있는 금액)+(몬스터 처치 시 주는 돈)=(소지하고 있는 금액)

이런 식으로 두면 몬스터를 처리할 때마다 소지하고 있는 금액을 불러와 몬스터 처치 시 주는 돈을 소지하고 있는 금액으로 두고 몬스터 처치 시에 불러오기만 하면 간단하게 보상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변수는 어떻게 만들까요?

먼저 변수 타입을 지정해 줘야 합니다.

변수 타입이란 뭘까요?

우리는 a라는 변수에 1이란 값을 저장해 두고 싶습니다

하지만 컴퓨터는 1이 문자로 받아들여야 하는지 아니면 정수의 1로 받아들여야 하지 혼돈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 걸 해결해 주기 위해

(변수 타입 ) (변수명) = (변수 값);

이런 형식으로 변수 선언을 하게 됩니다.

그럼 변수 타입에는 어떤 게 있는지 살펴볼까요?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표들을 전부 암기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시험에서 flot기억 안 나서 5분 날림

정수 문자 실수 익숙한 부분이 있는 반면 논리 값이라는 생소한 단어가 보입니다

논리 값이란 무엇일까요?

컴퓨터는 0과 1로 된 2진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0이면 거짓  1이면 참으로 인식합니다

논리 값도 참과 거짓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boolean도 오늘은 변수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변수의 개념은 특정 값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을 변수라고 칭합니다

 

컴퓨터에서 변수는 어떨까요?

컴퓨터에선 바뀔 수 있는 특정 값들을 변수라고 부릅니다.

느낌이 잘 안 오시죠?

컴퓨터는 많은 양들의 정보를 메모리 즉 렘에 저장합니다.

예를 들면 게임에서 몬스터를 처치하면 현재 (소지하고 있는 금액)+(몬스터 처치 시 주는 돈)=(소지하고 있는 금액)

이런 식으로 두면 몬스터를 처리할 때마다 소지하고 있는 금액을 불러와 몬스터 처치 시 주는 돈을 소지하고 있는 금액으로 두고 몬스터 처치 시에 불러오기만 하면 간단하게 보상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변수는 어떻게 만들까요?

먼저 변수 타입을 지정해 줘야 합니다.

변수 타입이란 뭘까요?

우리는 a라는 변수에 1이란 값을 저장해 두고 싶습니다

하지만 컴퓨터는 1이 문자로 받아들여야 하는지 아니면 정수의 1로 받아들여야 하지 혼돈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 걸 해결해 주기 위해

(변수 타입 ) (변수명) = (변수 값);

이런 형식으로 변수 선언을 하게 됩니다.

그럼 변수 타입에는 어떤 게 있는지 살펴볼까요?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표들을 전부 암기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시험에서 flot기억 안 나서 5분 날림

정수 문자 실수 익숙한 부분이 있는 반면 논리 값이라는 생소한 단어가 보입니다

 

논리 값이란 무엇일까요?

컴퓨터는 0과 1로 된 2진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0이면 거짓 1이면 참으로 인식합니다

논리 값도 참과 거짓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boolean도 이처럼 참과 거짓으로 분류합니다.

잘 사용하지는 않으니 넘아 가겠습니다.

 

byte, short, int 이 3개는 전부 정수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설명을 보시면 byte와 bit가 다른 걸 볼 수 있는데 bit가 높을수록 더 많은 정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건 나중에 다루겠습니다.)

주로 많은 수를 표현 할 수 있는 int를 사용합니다.

 

chare는 문자 하나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문자 하나란 a, b, c,ㄱ,ㄴ,ㄷ 같은 거입니다.

 

이번에 저장한 변수를 출력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는 저번 글에 int는 % d 문자는 % c 실수는 % lf와 같은걸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a=10;
  char b='a';
  double c=2.2;

  printf(" 정수형 %d,문자형 %c 실수형%lf",a,b,c);
  
  return 0;
}

 

그럼 마지막으로 초기화  선언을 확인해 봅시다

초기화라는 건

=0;

이 부분인데요

a란 변수에 0이란 변수를 입력하여 초기화시켜 주는 겁니다

초기화를 안 하면 어떻게 될까요?

바로 쓰레기 값이 넣어집니다

쓰레기 값이란 컴퓨터가 표현할 수 있는 수중 랜덤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습니다

a에 1을 더하고 싶지만 100에 1을 더 할 수 도 있는 거죠

한번 쓰레기 값을 확인해볼까요? (우리가 쓰는 repl.it 에서는 변수 선언과 함께 자동으로 초기화를 해주지만 보통은 오류가 뜨니 초기화해주는 습관을 가져 줍시다.)

확인을 위해 비주얼 스튜디오로 보겠습니다.

비쥬얼 스튜디오로 코딩 시 변수를 토기화 시키지 않아 오류가 납니다.

C 언어가 아니더라도 초기화시키지 않은 변수 사용 시 오류가 나는 경우가 많으니 초기화는 꼭 해주세요.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