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의 명령 코드를수행할 명령을 표시한다 1.묵시적 주소 지정 방식 명령어의 정의에 따라 주소사 암시적으로 정해지는 방식으로 누산기를 사용하는 연산에서 사용된다 ex)누산기에 저장된 값의 보수를 취하라 라는 명령은 피연산자가 누산기에 있기때문에 묵시적 주소 지정 방식이 된다 스택 구조컴퓨터에서 0 -주소 명령어는 피연산자가 스택의 맨 위를 지정하기 때문에 묵시적 주소 지정 방식이다 2.즉석 주소 지정 방식 피연산자가 명령어 자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명령이 인출됨과 동시에 기억장치의 데이터도 자동으로 인출되어 명령어의 실행이 바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3. 직접 주소 지정 방식 오퍼랜드 내의 주소를 실제 데이터의 주소로 직접 표현하는 방식으로,분기 형식의 명령에서 주로 사용된다 장점 : 프로그램이 ..
제어장치란 컴퓨터의 행동을 제어하는 장치로 컴퓨터 내의 모든 장치가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주기억 장치에서 명령어를 가져와서 해독, 그 결과에 맞는 제어 신호를 컴퓨터 시스템 내의 각 부분으로 전달해준다 제어장치 순서 1.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기억 장소에 저장 ↓ 2. 기억 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연산 장치로 이동 ↓ 3. 연산 장치에서 연산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다시 기억장치로 이동 ↓ 4. 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 장치로 이동시켜 출력 ↓ 끝 1. 주소 레지스터 (MAR : Memory Address Register) : 주기억 장치에 명령이나 자로가 기억되어 있는 주소를 보관 2. 기억 레지스터 (MBR : Memory Buffer Register) : 명령어 계수기가..
1. 주기억 장치 개요주기억 장치는 실행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주 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어서 실행한다모든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난 후 실행된다 주 기억 장치는 초창기 컴퓨터에서 많이 사용한 자기 코어 방식의 기억 장치와 반도체형 기억 장치로 나눌 수 있다 주 기억장치는 실행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한다다 주 기억장치에 기억되는 데이터는 프로그램 처리를 위하여 입력되는 내용, 살행 중간에 생성되는 자료, 처리가 끝난 후 출력해야 할 내용이다 주 기억장치에 들어오는 주소선과 데이터 선은 여러 곳에서 들어올 수 있고, 또 다른 곳으로 나갈 수 있다 기억 장치의 주소선은 중앙 처이 장치 안에 있는 기억 장치 주소 레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다 기억 장치와 기..

기억 장치란? 컴퓨터가 기본 기능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다. 기억장치는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가 실행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하고 프로그램 실행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컴퓨터의 기억 장치는 기능에 따라 주 기억장치, 보조기억 장치, 특수 기억 장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주 기억장치(main memory unit)란? 중앙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주기억장치에 있어야 한다 보조 기억장치나 외부 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는 처리되기 저전에 주기억 장치로 읽혀서 들어와야 한다 주기억 장치로 많이 사용되는 RAM은 전원이 꺼지면 작성되어 있는 자료들이 모두 삭제된다 2. 보조 기억 장치(auxiliary memory unnit)란? 용량이 큰 자료를 장기간 저장할 때 주로..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딩
- C언어기본
- 온라인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
- Repl.it
- repl.it 사용법
- 사용법
- 온라인 코딩
- 프로그래머
- stdio.h
- 개발
- C언어 배우기
- include
- 출력함수
- printf
- 프로그래밍 입문
- 개발환경
- C언어란?
- 프로그래밍 추천
- 프로그래밍입문
- C언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